귀룽나무
Prunus padus
5월에 꽃이 피는 장미과/벚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
귀룽나무는 구룡나무(九龍木)가 변한 이름으로, 귀중목 · 구름나무 · 귀롱나무라고도 한다. 봄에 낙엽활엽교목 중에서 새순이 가장 일찍 나오며, 초여름 연녹색 잎 사이로 무리지어 피는 꽃이 마치 뭉게구름처럼 아름다워 조경수나 가로수로 일품이다. 어린 가지를 꺾으면 이상한 냄새가 나는데 이 냄새를 벌레들이 싫어해 옛사람들은 파리를 쫓기 위해 이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와 일본 · 중국 ·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높이 10∼15m 정도이며 가지가 길고 무성하게 뻗어 아래로 쳐지며 위쪽이 둥그스름해진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1.5cm로 털이 없고 꿀샘이 있다. 가을에 잎이 붉게 물든다.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며 새가지 끝에서 지름 1∼1.5cm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10∼15cm로 털이 없고 밑부분에 잎이 있으며 작은꽃자루에도 털이 없다. 암술은 1개, 수술은 20여개이며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각 5개씩이고 꽃받침에는 털이 없다. 꽃이 필 때는 나무 전체가 꽃으로 뒤덮인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6∼7월에 검게 익는다.
어린 잎은 식용하고 열매는 날것으로 먹는다. 잔가지를 말린 것을 구룡목이라 해서, 민간에서는 이것을 끓여 체증 치료에 쓰고, 생즙을 습종(濕腫) 치료에 쓴다. 나무의 재질은 벚나무류와 비슷하고 기구재·조각재·땔감 등으로 쓴다.
《귀룽나무 종류》
이름 | 특징 |
흰털귀룽 | - 잔가지와 작은꽃자루에 털이 나고 잎 뒤면세 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
서울귀룽 | - 작은꽃자루의 길이가 5~20mm이다. |
털귀룽 | - 작은꽃자루에 털이 있다. |
차빛귀룽/녹털기룽 | - 잎 뒷면에 갈색의 가는 털이 있다. |
《참고 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