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풀꽃나무들

무궁화

by kelpics 2014. 7. 17.

무궁화(無窮花, rose of sharon)

 

 

무궁화

Hibiscus syriacus

7~9월에 꽃이 피는 아욱과/무궁화속의 낙엽 활엽 관목

 

무궁화(無窮花)라는 이름은 여름에서부터 가을까지 계속해서 꽃이 피고 지기 때문에 얻은 이름이다. 무궁화는 우리나라의 나라꽃으로 근화(槿花)라고도 한다. 신라시대에 이미 무궁화가 우리나라를 일컫는 꽃으로 사용되었으며, 고려, 조선시대에도 우리나라를 '무궁화가 많은 땅', 곧 ‘근역’, ‘근화향’, ‘근원’이라 불렀다. 일제시대에는 우리 민족의 혼을 말살하기 위한 식민정책으로 무궁화를 캐내고 심지 못하게 하는 국화말살정책을 강행하기도 했다. 꽃말은 ‘일편단심’, ‘섬세한 아름다움’이다. 꽃이 아름답고 꽃피는 기간이 길어서 조경용과 분재용 및 울타리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무궁화 (2014.07.19)

 

 

 

무궁화꽃은 보통 홍자색 계통이나 흰색·연분홍색·분홍색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5개의 분홍빛 꽃잎과 씨방으로부터 번져나오는 정열적인 붉은색은 세계속으로 발전하는 우리 민족의 기상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무궁화는 이른 새벽에 꽃이 피었다가 오후가 되면서 오므라들기 시작하여 해질 무렵에는 꽃이 떨어진다. 그러나 매일 새로운 꽃이 연속적으로 피어, 초여름에서 가을까지 끊임없이 꽃을 피우는 것이 무궁화의 특징이다.

 

 

 

 

무궁화 (2014.07.17)

 

 

 

무궁화의 학명 '히비스커스(Hibiscus)'는 이집트 신화 속 아름다운 달의 여신 ‘히비스’와 ‘닮다’라는 뜻의 ‘이스코’에서 따온 말로 ‘아름다운 여신과 닮은 꽃’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또한 종소명 ‘시리아커스(syriacus)’는 ‘시리아에서 나는 꽃’이라는 뜻이다. 영어로는 유대교가 왕성했던 지역에서 자생했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를 비유하는 표현인 ‘Rose of Sharon’이라 부르는데, 이는 학명이 지어지던 당시, 유럽의 식물학자들이 무궁화의 자생지를 시리아로 오인했기 때문이며, 이후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무궁화의 자생지는 동아시아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한다.

 

 

 

 

무궁화 (2014.07.19)

 

 

 

무궁화의 자생지가 한반도라는 역사적 증거들이 다수 존재한다. 기원전 8~3세기,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저술된 고대 중국의 지리 책 ‘산해경(山海經)’에서도 우리나라를 가리켜 “군자의 나라에 훈화초가 있는데,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진다(君子之國 有薰花草 朝生暮死)”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신라의 효공왕이 당나라 소종에게 보냈다는 국서에서도 우리나라를 ‘무궁화의 나라’라고 소개하고 있다. 오늘날 무궁화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꽃으로 외국에 발신하는 공문서와 국가적 중요문서 등에 무궁화꽃이 휘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가기관의 훈장, 상장, 배지, 모표 및 각종 기물에 무궁화 문장이 있다.

 

 

 

 

무궁화 (미동산수목원 2020.08.01)

 

 

 

한편, 옛날에는 무궁화를 그렇게 좋게 보지 않았는데,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꽃이라고 하여 ‘조개모락화(朝開暮落花)’, 혹은 ‘조근(朝槿)’이라 불렀으며, 하루 만에 꽃이 지기 때문에 단명(短命)을 상징하는 꽃으로 여겼다고 한다. 실제로 조선왕조실록에 연산군이 총애하던 후궁 안씨가 죽자 비통해 하며 글을 짓게 하였는데 여원 안씨를 조근(朝槿)에 비유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과 고려사 중 무궁화가 언급된 곳은 이 부분이 유일하다. 한반도에 무궁화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었지만 조선 시대까지만 하더라도 무궁화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꽃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웠던 것이다.

 

 

 

 

무궁화 (2015.07.29)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무궁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한 송이 한 송이는 하루 만에 지지만, 하나가 지면 다른 하나가 피어나는 꽃이기도 한데,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에는 이렇게 지고 피는 것을 무궁무진하게 반복하는 무궁화야말로 우리 민족의 생명력과 저항정신을 상징하는 꽃으로 손색이 없다고 본 것이다. 꽃 하나만 볼 것이냐, 나무 전체를 볼 것이냐에 따라 무궁화에 대한 관점이 정반대로 달라졌던 것이다.

 

 

 

 

무궁화 (미동산수목원 2020.08.01)

 

 

 

“희디흰 바탕은 이 나라 사람들의 깨끗한 마음씨요,
안으로 들어갈수록 연연히 붉게 물들어,
마침내 그 한복판에서 자주빛으로 활짝 불타는 이 꽃은
이 나라 사람이 그리워하는 삶이다”

(조지훈)

 

 

 

 

무궁화 (2014.07.17)

 

 

 

무궁화는 생명력이 강하다. 자강불식(自强不息)의 정신을 잘 나타낸 꽃이라 하겠다. 폭염 속에서도 줄기차게 피는 모습은 예사 꽃들에게는 찾을 수 없는 지조와 절개를 지키는 지사와 열사 또는 선구자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매일매일 새롭게 피고 지는 꽃봉오리는 일일신우일신(日日新又日新)을 상기시킨다. 요염하게 자신을 드러내는 꽃이 아닌 당당하고 점잖은 모습은 군자다운 풍모를 갖추고 있어 유유자적하는 군자를 떠올리게 한다. 질 때 어지럽히지 않고 깨끗하게 끝맺는 모습은 최선을 다하고 하늘의 뜻을 기다리는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 떠오른다. 아침의 도(道)를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조문도 석사(朝聞道 夕死)'의 철학도 생각케 한다...

 

 

 

 

무궁화 (미동산수목원 2020.08.01)

 

 

 

 

※ 참고 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모야모 MOYAMO

한산신문(최진태의 식물오디세이 18 - 마음의 눈으로 보는 꽃, 무궁화)

 

'풀꽃나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봉선  (0) 2014.09.08
풍접초  (0) 2014.07.19
물레나물  (0) 2014.07.17
냉초  (0) 2014.07.17
마타리  (0) 2014.07.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