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질풀
Geranium thunbergii Siebold & Zucc.
8~9월에 꽃이 피는 쥐손이풀과/쥐손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이질풀은 설사를 일으키는 이질(痢疾)에 즉각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노관초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와 일본·타이완에 분포한다. 민간에서는 약재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현초(玄草)라고 하며 지사제로 쓴다.
꽃은 8∼9월에 연한 홍색, 홍자색 또는 흰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오고 꽃줄기에서 2개의 작은 꽃자루가 갈라져서 각각 1개씩 달린다. 꽃자루와 꽃받침에 짧은 털과 더불어 퍼진 긴 샘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며 3∼5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다시 3개로 얕게 갈라진다. 잎 표면에 복모가 있으며 양면에 흔히 검은 무늬가 있다. 줄기는 옆으로 비스듬히 또는 기어가면서 길이 50cm 정도 뻗으며, 위로 퍼진 털이 있고 곳곳에 마디가 있다.
《이질풀 vs. 쥐손이풀》
구분 | 쥐손이풀 | 이질풀 |
사진 | ||
특징 | -꽃잎에 줄무늬가 3개 있다. -꽃이 연한 홍색 또는 홍자색이다. -위쪽에서는 꽃이 1개씩 달리고 아래쪽에서는 2개씩 달린다. -잎자루와 함께 줄기에 밑으로 난 털이 있다. -주근(主根)이 있다. |
-꽃잎에 줄무늬가 5개 정도 있다. -꽃이 연한 홍색 또는 홍자색이며 흰색도 있다. -꽃이 2개씩 달린다. -줄기에 위로 퍼진 털이 있다. -주근(主根)이 없다. |
유사종 | -삼쥐손이 : 높은 산지에서 자라며, 잎이 가늘게 갈라진다. -산쥐손이 : 높은 산에 자생하며 꽃이 작고 잎이 깊게 갈라진다. |
-둥근이질풀 : 줄기에 털이 거의 없거나 매끈하며 높은 산에서 자라고 들판에 피는 이질풀보다 꽃이 크다. |
※ 참고 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