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88 개구릿대 개구릿대 Angelica anomala 7~8월에 꽃이 피는 산형과/ 당귀속의 여러해살이풀 구릿대는 줄기에 구릿빛이 돌며 키가 크고 속이 빈 대나무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개구릿대는 산골짜기 습지에서 자라며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뿌리는 백지(白芷), 잎은 백지엽(白芷葉)이라 하며 약용하며 한방에서는 두통 · 치통 · 신경통 · 복통 등에 처방한다. 우리나라 외에 일본 · 중국 · 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한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겹산형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화관은 작고 꽃받침 5개는 안으로 굽는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는 길이 1mm 정도이며, 씨방은 1개가 꽃받침 아래 위치한다. 줄기는 높이 1∼2m로 크게 자라고 속이 비어 있으며 세로로 난 줄이 있고 털은 없으며 흔히.. 2023. 8. 8. 영아자 영아자 Asyneuma japonicum 7~9월에 꽃이 피는 초롱꽃과/ 영아자속의 여러해살이풀 영아자의 아자(牙子)는 짚신나물 뿌리의 약재명으로, 비슷한 용도로 쓰이는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한다. 가늘게 갈라져 뒤로 말린 꽃잎이 마치 헝크러진 머리카락을 연상케 해서인지 꽃말이 ‘광녀(狂女)’이다. 이른 봄에 어린 순을 나물로 먹으며, 다른 이름으로 염아자 · 여마자 · 미나리싹 · 미나리취 · 모시잔대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 전역의 산골짜기 낮은 지대에서 자라며, 일본 · 중국 북동부 · 시베리아 동부에 분포한다. 꽃은 7∼9월에 보라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으로 달린다. 꽃잎은 깊게 5개로 갈라져서 젖혀지며 갈래꽃같이 보인다.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길이 1∼1.2.. 2023. 8. 8. 참좁쌀풀 참좁쌀풀 Lysimachia coreana 6~7월에 꽃이 피는 앵초과/ 까치수염속의 여러해살이풀 좁쌀풀은 열매의 모습이 좁쌀처럼 생긴데서 연유된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좁쌀풀은 우리나라 특산 식물로 깊은 산 초원에서 자라며 경기도 · 경상북도 · 강원도 · 함경남북도에 분포한다. 자생지가 제한되어 있으며, 개체수도 많지 않다. 꽃은 6∼7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잎 가장자리와 양면에 황색 샘털이 있어 마치 꽃가루가 묻어 있는 것같다. 꽃 가운데에는 붉은색이 선명한 무늬가 들어가 있다.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밑부분이 붙어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끝이 둔하며 털이 없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50∼100cm이며 전체에 .. 2023. 8. 7. 물양지꽃 물양지꽃 Potentilla cryptotaeniae 7~8월에 꽃이 피는 장미과/ 양지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물양지꽃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며 주로 깊은 산 속의 물가나 풀밭에서 자란다.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는 양지꽃과 달리 몸집이 커서 1m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부 · 일본 ·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부를 지봉자(地蜂子)라는 약재로 쓴다. 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원형이며 길이가 꽃받침조각과 거의 같고, 수술은 20개이며, 암술은 수가 많다. 꽃자루 윗부분과 꽃받침 밑부분에 융털이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5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있.. 2023. 8. 7. 둥근이질풀 둥근이질풀 Geranium koreanum 6~7월에 꽃이 피는 쥐손이풀과/쥐손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이질풀과 닮았으나 꽃잎의 끝이 둥글어서 둥근이질풀이라 부른다. 왕이질풀 · 참쥐손풀 · 참이질풀 · 조선노관초 · 둥근쥐손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며 고산성 식물로 서늘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풀 전체를 약용한다. 꽃은 6∼7월에 연분홍색으로 하늘을 향해 피는데 지름 2cm 정도로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잎과 꽃받침은 5개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 밑동에 털이 있고 암술은 1개이다. 줄기는 높이 1m 정도이며 전체에 털이 약간 있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나고 뿌리에서 나온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거의 없거나 짧다. 잎은 3∼5개로 약간 깊게.. 2023. 8. 7. 구상나무 구상나무 Abies koreana 6월에 꽃이 피는 소나무과/전나무속의 별모양 상록 침엽 교목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도 한라산의 중턱 이상에 숲을 이루고 있고 무등산, 덕유산, 지리산의 높이 500~2,000m 사이에 분포한다. 분비나무로 오인되어 오다가 1920년 윌슨(Wilson)이 열매의 포편이 뒤로 젖혀진 점이 분비나무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고 한국 특산종으로 발표하였다. 유럽에서는 한국전나무로 부르며 수형이 아름다워 크리스마스트리로 많이 이용한다. 꽃은 5~6월에 피며 암수한그루이다. 암꽃이삭은 가지 끝에 달리는데, 빨강, 노랑, 분홍, 자주 등 다양한 색으로 피며 자라서 타원형의 솔방울이 된다. 수꽃이삭은 타원형으로 길이 1cm 정도이다. 열매는 원통형이고 위로 곧추서서 달.. 2023. 8. 7. 덤불조팝나무 덤불조팝나무 Spiraea miyabei 4~5월에 꽃이 피는 장미과/조팝나무속의 납엽 활엽 관목 덤불조팝·삼수선국(森繡線菊)이라고도 하며 산골짜기의 암석지대에 잘 자란다. 관상용으로도 심으며, 우리나라(강원도 이북 해발 200~2,200m)와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꽃은 4~5월에 흰색 꽃이 줄기 끝에 복산방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차례는 지름 10cm 정도이고 작은꽃자루에 털이 있다. 꽃받침은 퍼지며 수술은 꽃잎보다 2∼3배 길다. 꽃잎은 달걀 모양이고 수술은 여러 개이다. 열매에 잔 털이 있고 암술대가 약간 밑에 달려 있으며 6월에 익는다. 높이는 1∼1.5m이다. 일년생가지는 황색이고 능각(稜角)을 이루며 늙은 가지는 회색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 2023. 7. 31. 산꿩의다리 산꿩의다리 Thalictrum tuberiferum 6~7월에 꽃이 피는 미나리아재비과/꿩의다리속의 여러해살이풀 우리나라 전역의 숲에 자생하며 산에서 보이는 대부분의 꿩의다리는 산꿩의다리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40~60cm로 꿩의다리보다 키가 작아 구분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9장의 작은 잎이며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줄기 윗부분에 산방상으로 달린다. 꽃잎이 없고 수술이 많으며 고리모양으로 배열한다. 《꿩의다리 종류/구분》 꿩의다리 산꿩의다리 은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전국 산지에서 자란다. *키는 50~100cm로 곧게 자란다(크다) -꽃이 흰색 또는 연보라색이다. *꽃이 피기 전 봉오리가 자주색이다. -원줄기에 능선이 있다. -전국 산지에서 자란다. -키.. 2023. 7. 28. 자주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Thalictrum uchiyamai 6~7월에 꽃이 피는 미나리아재비과/꿩의다리속의 여러해살이풀 꽃과 줄기가 자주색을 띠고 있어 자주꿩의다리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특산 식물로 서울 근교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흔하지는 않다. 물기가 많은 돌 틈이나 반그늘에서 자란다. 같은 자주색 꽃이 피는 은꿩의다리와 잎과 꽃모양에서 구분이 되는데, 은꿩의다리는 잎에 톱니가 발달하고 꽃 모양이 빗살처럼 가는데 차이가 있다. 《꿩의다리 종류/구분》 꿩의다리 산꿩의다리 은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전국 산지에서 자란다. *키는 50~100cm로 곧게 자란다(크다) -꽃이 흰색 또는 연보라색이다. *꽃이 피기 전 봉오리가 자주색이다. -원줄기에 능선이 있다. -전국 산지에서 자란다. -키는 40~.. 2023. 7. 28. 이전 1 2 3 4 5 6 7 ··· 77 다음